728x90
2025년 4월 9일 기준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최소 10%의 기본 관세와 일부 국가에 대한 최대 50%의 맞춤형 "상호 관세")에 대한 세계 각국의 대응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국가 및 지역의 반응입니다.
중국: 강경한 보복 관세로 즉각 대응
중국은 즉각적으로 34%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기업 11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에 올려 사업 제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미국의 관세 정책을 "일방적 협박"으로 규정했습니다
캐나다: 강력한 보복 조치로 맞대응
캐나다는 기존 25% 펜타닐 관련 관세에 더해 새로운 관세를 피했으나, 4월 3일 마크 카니 총리가 USMCA 비준수 미국산 차량에 25%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2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을 겨냥한 조치로, 최대 850억 달러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북미 자유무역 협정(USMCA) 틀 안에서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움직임입니다.
유럽연합(EU): 협상과 보복 병행 준비
EU는 트럼프의 20% 상호 관세에 대해 단합된 대응을 모색 중입니다. 유럽위원회는 협상을 우선시하면서도, 실패 시 최대 28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치실, 다이아몬드 등)에 대한 보복 관세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부당한 관세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미국 내 유럽 기업의 투자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반면,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는 "무역전쟁을 피하려 노력하겠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일본: 신속한 협상과 면제 요구
일본은 트럼프의 24% 상호 관세를 "유감스럽다"고 규정하며, 무토 요지 무역장관이 미국에 면제를 요구하는 동시에 신속한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했습니다. 일본은 보복 관세보다는 협상을 통해 타결점을 찾으려는 전략을 채택했으며, 이는 미국과의 군사적 동맹 관계를 고려한 조치로 보입니다.
대한민국: 산업 지원과 협상 병행
한국은 25% 상호 관세에 직면하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자동차 등 피해 산업에 대한 긴급 지원책을 지시했습니다. 4월 8일 경제·안보 전략 회의에서 "글로벌 관세 전쟁의 현실에 전방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으며, 보복보다는 협상을 통한 해결을 우선시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이는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2024년 기준 347억 달러)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멕시코: 신중한 접근과 대화 유지
멕시코는 USMCA 준수 상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피했으나, 비준수 상품에는 여전히 25% 관세가 적용됩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눈에는 눈"식 보복 대신 4월 3일 "종합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트럼프와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추가 충돌을 피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호주: 보복 거부와 협상 우선
호주는 10% 기본 관세에 직면했으며, 앤서니 알바니즈 총리는 "논리에 맞지 않는 조치"라며 비판했으나 보복 관세 대신 협상을 선택했습니다. 알바니즈는 "호주 가정의 물가 상승을 초래할 보복 경쟁에 가담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미국과 제로 관세를 목표로 대화에 나섰습니다.
기타 국가들의 반응
-
베트남: 46% 상호 관세에 협상 의지를 표명하며 미국산 관세 철회를 제안.
-
이스라엘: 17% 관세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전면 철폐하며 무역 적자 해소를 약속.
-
말레이시아: 24% 관세에 보복 대신 ASEAN 공동 대응을 모색 중.
결론: 협상과 보복의 갈림길
트럼프의 관세 조치는 글로벌 무역 질서를 흔들며, 국가들은 보복(중국, 캐나다), 협상(일본, 한국, 멕시코, 호주), 또는 양자 병행(EU)이라는 세 가지 방향으로 나뉘어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시장 혼란과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무역전쟁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728x90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을 이용해 필로폰을 위장하는 사례 (0) | 2025.04.11 |
---|---|
중국업체 물류비를 한국 우체국이 보조하는 이유는? (1) | 2025.04.10 |
북한군 10여명, 무장한 채 MDL 침범했다 경고사격에 퇴각 (1) | 2025.04.09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트럼프 대통령과 첫 전화 대화...28분간 진행 (1) | 2025.04.09 |
한덕수 국무총리, 미국 상호관세에 맞서지 않고 협상할 것 (1) | 2025.04.09 |